본문 바로가기
생활 꿀팁!!

'얻다대고' '어따대고' 자주 틀리는 단어!

by 남이삶 2025. 1. 24.
반응형

얻다대고 어따대고  헷갈리는 표현 바로 잡기

 

 

 

 

 

우리말에는 발음이 비슷해서 자주 헷갈리는 표현들이 많습니다.

그중에서도 **‘얻다대고’**와 **‘어따대고’**는 발음이 유사해서 혼동하기 쉽죠.

이 두 표현은 각각 전혀 다른 의미와 쓰임새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두 표현을 정확히 구분하고, 올바른 사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얻다대고’의 의미와 쓰임

‘얻다대고’의 정의

‘얻다대고’는 ‘얻다’(어디에)와 ‘대다’(무엇을 붙이다, 가져다 대다)가 결합된 형태로, 무언가를 어디에 붙이거나 갖다 대는 행동을 뜻합니다.
이 표현은 물리적인 행위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얻다대고’의 활용 예시

  1. 컵을 책상에 얻다대고 소리를 냈다.
  2. 칼을 상대에게 얻다대며 협박했다.
  3. 물건을 아무 데나 얻다대지 마라.

‘얻다대고’의 특징

  • 물리적으로 특정 위치에 무엇인가를 갖다 대는 행동을 표현할 때 사용.
  • 행동이나 동작과 관련된 맥락에서 사용됨.

 

 

‘어따대고’의 의미와 쓰임

‘어따대고’의 정의

‘어따대고’는 ‘어디다가’(무엇을 향하여)와 ‘대고’(어떤 태도나 행동을 취하다)가 결합된 표현입니다.
이는 물리적 행동이 아니라 비유적으로, 말이나 태도가 상대에게 어울리지 않는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어따대고’의 활용 예시

  1. 어따대고 반말이야? (비유적으로 사용)
  2. 어따대고 큰소리야?
  3. 네가 어따대고 이런 요구를 해?

‘어따대고’의 특징

  • 상대방의 태도나 말이 어울리지 않는 경우를 지적할 때 사용.
  • 주로 화난 감정을 드러내거나 상대방의 행동을 나무랄 때 쓰임.

 


‘얻다대고’와 ‘어따대고’의 차이점

 

의미 어디에 무언가를 붙이거나 갖다 대다 상대의 태도나 행동이 어울리지 않음을 지적하다
사용 맥락 물리적인 위치와 관련된 동작 말이나 태도, 비유적인 상황
예문 컵을 책상에 얻다대고 소리 냈다. 어따대고 반말이야?
뉘앙스 행동 중심 태도나 말 중심, 비난의 어감 포함

 

쉽게 구분하는 방법

얻다대고

  • 행동과 관련된 동작 표현.
  • 특정 물건이나 신체가 물리적으로 어디에 접촉하는 상황.
  • 기억법: ‘얻다(어디에) 대는 행위’로 이해.

✔ 상황 예시

  • “그림을 벽에 얻다대고 걸었다.”
  • “물건을 아무 데나 얻다대지 마라.”

어따대고

  • 태도과 관련된 비유적인 표현.
  • 상대방의 행동이나 말이 어울리지 않을 때 비판의 의미로 사용.
  • 기억법: ‘어따(어디다가) 대고 말이야!’처럼 강한 뉘앙스를 떠올리면 쉽습니다.

✔ 상황 예시

  • 어따대고 반말을 해?”
  • “네가 어따대고 이래라저래라야?”

 잘못된 예문 고치기

  1. 잘못된 예문:
    • “얻다대고 반말을 해?”
    • → 수정: “어따대고 반말을 해?”
  2. 잘못된 예문:
    • “컵을 어따대고 놔둔 거야?”
    • → 수정: “컵을 얻다대고 놔둔 거야?”

이제 ‘얻다대고’와 ‘어따대고’를 헷갈리지 말고 올바르게 사용해 보세요!

 

반응형